✏️

Project 3. 마케터 JD를 분석해봐요.

 Project 3. 마케터 JD를 분석해봐요.

개념 바로 알기

[목표]
마케터라는 넓은 개념의 직무를 탐색하고
다양한 마케터 분야 중, 내가 어떤 역할을 지향하는지 고민해봅니다.
AI 시대의 마케터는 단순히 광고 집행이나 툴 활용에 그치지 않습니다.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을 이해하고, 채널과 메시지를 설계하며, 브랜드의 이야기를 전달하는 기획자, 퍼포머, 스토리텔러가 되어야 합니다.
이 과제를 통해 ‘나는 어떤 문제를 마케팅으로 해결하고 싶은가’를 고민해보세요.

직접 조사해보기

아래 가이드를 따라 직무 조사 및 역량 분석을 진행해주세요.

STEP 1. 다양한 JD(직무기술서) 조사하기

마케팅은 더 이상 ‘한 가지 역할’이 아닙니다.
아래 영역 중 3개 이상을 선택해, JD를 수집해보세요.
직무 키워드 예시
콘텐츠 마케터 / 퍼포먼스 마케터 / 브랜드 마케터 / CRM마케터 / 디지털 마케터 / 프로덕트 마케터 / 그로스 마케터 / SNS 마케터 등등
(or 직접 관심 있는 키워드 사용 가능)
조사 플랫폼 예시
원티드, 로켓펀치, 잡코리아, 사람인, 위시켓 등
수집 항목:
공고 제목 + 링크
주요 업무
필요 역량 (툴, 경험, 포트폴리오 등)
AI/자동화 관련 언급 여부

STEP 2. 공통점 & 차이점 분석하기

다음 문항을 기반으로 조사한 JD들을 비교/분석해주세요. (자유 서술)
어떤 역량이 공통적으로 요구되나요? (툴, 표현력, 커뮤니케이션 등)
각 JD의 차별화된 특징은 무엇이었나요?
AI/자동화와 관련된 요구사항은 어떻게 다뤄지고 있나요?

STEP 3. 나만의 포지션 정의하기

이 과정을 마친 후, 아래 문항에 대해 나의 생각을 정리해보세요. (5문장 이상)
나는 어떤 마케팅 분야에 가장 관심이 생겼나요?
그 분야에서 AI는 어떤 식으로 활용될 수 있을까요?
나에게 부족하다고 느껴진 핵심 역량은 무엇이었나요?
이 사전캠프에서 반드시 성장시키고 싶은 능력은 무엇인가요?
나의 마케팅 역량을 한 문장으로 표현해본다면?

제출하기

제출 방식:  템플릿을 활용하여 아래 페이지에 직접 작성 → 완료 후 체크박스 체크